[LINUX] 사용자 관리
사용자 계정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운영체제 사용자 계정이 있어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음 ‘사용자명’ 또는 ‘로그인 아이디’라고도 함 사용자 계정은 유일한 UID를 가짐 사용자 계정별로 접근 권한을 통제할 수 있음 일반 사용자 계정 외에 root 계정(UID=0), 시스템 계정도 있음 id username 명령은...
사용자 계정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운영체제 사용자 계정이 있어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음 ‘사용자명’ 또는 ‘로그인 아이디’라고도 함 사용자 계정은 유일한 UID를 가짐 사용자 계정별로 접근 권한을 통제할 수 있음 일반 사용자 계정 외에 root 계정(UID=0), 시스템 계정도 있음 id username 명령은...
리눅스의 부팅 리눅스의 부트 로더 프로그램은 과거에는 LILO를 많이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GNU의 GRUB2을 사용한다. GRUB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멀티 부팅을 지원한다. 부팅 과정 전원을 켜고 로그인 프롬프트가 나올 때까지의 과정 ROM BIOS의 펌웨어가 하드웨어 검사 후 부트 로더를 적재 MBR에 있는 부트 로더가 G...
파일 시스템 운영체제가 디스크(파티션) 상에 파일들을 구성하는 방식 파일과 디렉터리의 집합을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체계 트리 형태 안에 다수의 디렉터리가 존재하는 계층적 디렉터리 구조 가장 상위의 디렉터리는 루트(/) 디렉터리 리눅스는 전체 파일 시스템을 1개의 트리 구조로 관리 루...
UNIX의 등장과 발전 최초의 UNIX : Multics 1969년 어셈블리 언어로 개발된 최초의 시분할 운영체제 Multics → Unics → UNIX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3년에 UNIX 시스템의 대부분이 C언어로 다시 작성됨 (UNIX V5) AT&T에서 대학에 U...
VSCode에서 Prettier가 설치되어 있고, foramtOnSave 옵션이 true 인데도 markdown 파일을 저장하면 포맷이 되지 않았다. markdown 파일을 열고, alt+shift+F를 누른다. 얼럿이 뜨면 configure? 를 누른다. 상단에 선택창이 뜨면 Prettier를 선택한다. 이제 markdown 파일을...
벡터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표현하고 다루기 위한 개념 스칼라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요소 스칼라: 벡터/행렬을 구성하는 요소인 각 숫자들을 의미 열로 구성되어 있는 열벡터(Column)와 행으로 구성되어 있는 행벡터(Row)로 나뉨 벡터의 첫 번째 요소는 x좌표, 두 번째...
제어장치의 개요 컴퓨터시스템의 모든 장치들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어를 하나씩 읽어내어 연산코드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명령어를 수행한다. 제어장치의 구성 명령어 레지스터 명령어 해독기 순서 제어기 주소 처리기 제어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카운터(PC)에 저장된 주소로 기억...
처리장치의 개요 중앙처리장치(CPU) 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산을 실행한다. CPU는 처리장치와 제어장치가 결합된 형태이고, 제어장치는 연산의 실행 순서를 결정한다. 제어장치가 처리장치에 제어신호를 보내면 처리장치에서 제어장치로 상태신호를 보낸다. 처리장치의 구성 산술논리연산장치(ALU) 산술, 논리...
컴퓨터 명령어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가 수행해야 하는 일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들의 집합으로 일정한 형식을 가진다. 명령어의 세트를 명령어 집합이라고 한다. 동일 계열의 컴퓨터는 같은 명령어 집합을 사용한다. 명령어와 명령어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는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고, 이것을 중앙처리장치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컴퓨터...
컴퓨터 시스템 전자식 데이터 처리 시스템(EDPS: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하드웨어는 컴퓨터의 기계적인 장치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하드웨어를 제어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